출처 : 등굣길
Solution
Python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MOD = 1_000_000_007
def BFS(m, n, puddles):
# 방문한 위치인지 확인 / 해당 위치까지 갈 수 있는 방법 / 0 인덱싱 넘버로 변경
visited = [[False]*m for _ in range(n)]
board = [[0]*m for _ in range(n)]
for x, y in puddles:
visited[y-1][x-1] = True
# 이동 가능한 경로(방향, (x,y), 상하좌우)
direction = ((0,-1),(0,1),(-1,0),(1,0))
# Q에 현재 체크 중인 위치를 넣고 탐색 진행
Q = deque()
Q.append((0,0))
board[0][0] = 1
while Q:
x, y = Q.popleft()
if visited[y][x]: continue
visited[y][x] = True
# 이동 방향 전부 체크
for dx, dy in direction:
nx, ny = x+dx, y+dy
# board 범위 안인지 확인
if (0 <= nx < m) & (0 <= ny < n):
# visited인 경우 pass
if visited[ny][nx]: continue
board[ny][nx] += board[y][x] % MOD
Q.append((nx,ny))
return board[n-1][m-1] % MOD
def solution(m, n, puddles):
# dp 배열 초기화
dp = [[0]*m for _ in range(n)]
for x, y in puddles: dp[y-1][x-1] = -1
# 시작점(집)은 1로 설정
dp[0][0] = 1
for y in range(n):
for x in range(m):
# puddles 위치는 못 지나가므로 pass
if dp[y][x] == -1:
dp[y][x] = 0
continue
# 현위치로 올 수 있는 다른 경로의 수도 +
if y > 0: dp[y][x] += dp[y-1][x]
if x > 0: dp[y][x] += dp[y][x-1]
dp[y][x] %= MOD
return dp[n-1][m-1]
if __name__=="__main__":
m, n = 4, 3
puddles = [[2, 2]]
answer = solution(m, n, puddles)
print(f"{answer==4} / 정답 : 4 / 출력 : {answer}")
문제 설명
계속되는 폭우로 일부 지역이 물에 잠겼습니다. 물에 잠기지 않은 지역을 통해 학교를 가려고 합니다.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m x n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아래 그림은 m = 4, n = 3 인 경우입니다.
가장 왼쪽 위, 즉 집이 있는 곳의 좌표는 (1, 1)로 나타내고 가장 오른쪽 아래, 즉 학교가 있는 곳의 좌표는 (m, n)으로 나타냅니다.
격자의 크기 m, n과 물이 잠긴 지역의 좌표를 담은 2차원 배열 puddles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오른쪽과 아래쪽으로만 움직여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최단경로의 개수를 1,000,000,007로 나눈 나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격자의 크기 m, n은 1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m과 n이 모두 1인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물에 잠긴 지역은 0개 이상 10개 이하입니다.
- 집과 학교가 물에 잠긴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입출력 예
m | n | puddles | return |
---|---|---|---|
4 | 3 | [[2, 2]] | 4 |